golang에서 커맨드라인 인자를 받는법을 소개하고자한다. os 패키지를 이용하는 방법과 flag 패키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1. os packageos 패키지에 Args 슬라이스를 이용하면 된다. func main() { arguments := os.Args fmt.Println(arguments) } 참고로 디폴트로 항상 애플리케이션 명칭이 첫번째 인자로 넘어가므로 Args는 항상 최소 1임을 유의해야한다. 실제 인자를 보낼때도 0이 아니라 1 인덱스부터 사용해야한다. go run exam1.go option1 option2 형태로 사용하면된다. 2. flag packageos 패키지보다 좀 더 고수준의 방식을 지원해준다. 난 인자를 받을일이 생기면 flag 패키지를 이용한다. func main..
go에는 array와 slice 라는 타입이있다. 이게 좀 묘한데 둘이거의같다. func main() { arr := [3]int{1, 2, 3} slice := []int{1, 2, 3} fmt.Println(arr) fmt.Println(slice) } [3] 이라고 명시적으로 크기를 지정한건 배열, []로 선언한건 슬라이스다. 사용법도 비슷한데 슬라이스는 크기가 변경되는 반면 배열은 불가능하다. 이외에도 전반적으로 슬라이스가 배열의 superset 느낌이라.. 배열은 거의 사용할일이 없을듯하다. 그리고 한가지 치명적(?)인 차이가 슬라이스는 함수의 인자로 전달할때 레퍼런스가 전달되는반면 배열은 복사본이 전달된다는 점이다. func main() { slice := []int{3, 1, 2} arr :..
go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함수로 panic()과 recover()가 있다. 단순 콘솔 출력해도 fmt 패키지를 임포트해야하는 go인데 저 두 함수는 아무것도 임포트할필요없이 곧바로 제공하고있다. 함수명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panic()은 go 실행 루틴을 패닉에 빠지게하고(강제종료) recover()는 그걸 복구하는 역할을 한다. 간단한 예제를 살펴보자. func main() { fmt.Println("hello") panic("happen panic!") fmt.Println("goodbye") } panic() 이 실행되면서 실행 루틴이 종료되기때문에 goodbye는 출력되지 않는다.recover() 를 이용해서 복구시켜보자. func main() { fmt.Println("hello") pan..
Go 언어에서 defer 키워드는 해당 키워드를 사용한 함수가 끝날때 호출되게된다. func main() { fmt.Println("a") defer fmt.Println("b") fmt.Println("c") } 즉 이런 코드가 있으면 a, b, c 로 출력이 되는게 아니고 a, c가 출력되고 b는 main이 종료될때 출력되어 a, c, b가 출력되는것이다. file IO 에서 자원을 닫는 구문처럼 항상 마지막에 수행해야하는 코드가 있다면 defer를 이용해서 최상단에서 호출할 수도 있는것이다. file.open();defer file.close(); 처럼말이다. defer가 2번 이상 사용됐다면 이때는 stack에 담기는것처럼 역순으로 실행되게된다. func main() { fmt.Println("a..
기존 운영중인 자바 프로젝트에서 테스트코드를 코틀린으로 작성하고자했다.어떤 것들을 해줘야하는지 찾아봤는데 정말 별거 없다. plugins { id 'org.jetbrains.kotlin.jvm' version '1.3.20' } 이것만 추가해주면 바로 코틀린 클래스를 만들어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class KotlinTest { @Test fun `안녕 코틀린`() { assertThat("hello").isEqualTo("hello") } }
오늘은 Spring Cloud Hystrix 에 대해서 포스팅하려한다. 넷플릭스에서 Hystrix 를 만들어서 공개했는데 이를 좀 더 스프링 친화적으로 스프링에서 래핑해놓았다. Hystrix는 Circuit Breaker 패턴을 적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Supplier에 장애가 생겼을때 Supplier를 호출하는 Consumer까지 장애가 전파되지않도록 Circuit Breaker 를 오픈하는 방식의 라이브러리이다. 외부 API를 호출하는 경우가 있다면 장애전파를 막고자할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 작성할 애플리케이션은 Supplier, Consumer와 모니터링에 사용할 Dashboard, 그리고 여러 인스턴스를 모아서 모니터링할때 필요한 Eureka와 Turbine까지 총 5개다...
Spring Cloud Config Client지난 포스팅에서 config server를 띄우는것 까지 진행했다. 이제 config server가 구동되고있는 상태에서 그 정보들을 받아올 client 를 구현해보자. config 를 제대로 받아오는지 확인하는 용도의 스프링 부트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면된다. 아래 의존성을 넣어주면 된다. 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cloud:spring-cloud-starter-config') 그리고 아무것도 하지않고 서버를 띄워보자. 8080으로는 이미 config server가 사용되고있으니 아래설정을 넣어주고 ..
보통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을 만들다보면 설정파일은 properties나 yml 파일로 추출해서 관리하게된다. profile 별로 파일을 분리까지하게되면 그 자체로 훌륭하게 설정을 분리해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중 하나는 설정만 바뀌었음에도 빌드를 다시하고, 배포를 다시해야한다는 점이다. 나같은 경우는 AB 테스트를 진행하게됐고, AB의 비율을 자주 변경해야하는 이슈가 있었는데, 이를 기존대로 설정파일 분리만 해놓을 경우 비율을 바꿀때마다 릴리즈 배포를 해야했다. Spring Cloud Config 는 별도 config 서버를 두고 애플리케이션이 해당 서버에서 설정을 받아오는 방식이다. 중간에 설정이 바뀌는 일이 발생하면 config 서버만 변경해주고 애플리케이션은 설정을 갱신하..
spring cloud config client를 사용하여 갱신된 config 정보를 받아오기위해선 /actuator/refresh 를 호출해야한다. 그런데 이때 전혀 신경도 쓰지않았던 Hikari 에서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pool is sealed once started. Use HikariConfigMXBean for runtime changes. 이런 에러메세지가 나오는데 정확히 파본건 아니지만 refresh 를 하면서 config들을 갱신할때 Hikari 쪽을 호출하는듯 하다. 이것도 확인해본건 아니지만 아래처럼 @ConfigurationProperties 애노테이션을 사용해서 생성할..
mac에서 zsh을 이용하고있다. 별 생각없이 세팅하는데 이상한데서 애를 먹은게 있어서 해결법을 적어놓는다. 1. powerline font 적용zsh에 agnoster 테마를 적용하려고 powerline font를 설치했다. https://github.com/powerline/fonts 여길 참고하여 적용하는데 정상적으로 설치해도 폰트가 변경되지않았다. 이것저것 찾다보니 high sierra 부터 수동으로 바꿔줘야한다는데 믿을만한건지는 잘 모르겠다.(난 모하비 사용중)여튼 iterm2 에서 Preferences -> Profiles -> text 에서 xxx Powerline 폰트로 변경해주면 된다. 2. 커맨드라인에서 유저명 지우기$ echo "DEFAULT_USER=\"$USER\"" >> ~/.z..
- Total
- Today
- Yesterday
- JPA
- programming
- DesignPattern
- MySQL
- mariadb
- OOP
- backend개발환경
- code
- TEST
- java8
- java
- db
- spring cloud
- clean code
- Kotlin
- go-core
- EffectiveJava
- frontcode
- Spring
- 정규표현식
- servlet
- Jackson
- generics
- javascript
- toby
- http
- Git
- Design Pattern
- frontend개발환경
- JavaScript Cor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