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자를 통한 주입, 설정자(setter)를 통한 주입은 평소에도 많이 사용해오던 방식이라 익숙한데 static factory method를 이용한 spring bean 생성은 어렵다기보다 익숙하지않았다. 그래서 간략하게 정리를 해보고자 한다. 1. static factory Methodclass Person { private int age; public static Person newInstance(int age) { Person person = new Person(); person.age = age; return person; } private Person(){} } Person 클래스가 있고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팩토리 메서드를 제공한다. 팩토리메서드의 사용을 강제하기위해 기본생성자는 ..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이런저런 상황에 이름이 겹치는 경우가 발생한다. 가장 대표적인건 오버라이딩이나 오버로딩과 같은 것들도 이름이 겹치는걸 활용한 기법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용어들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다. 1. 오버라이딩하위 클래스에서 상위 클래스 혹은 인터페이스의 메서드 시그니처를 동일하게 작성하여 말 그대로 메서드를 재정의 하는 것. 어떤 메서드를 호출할지는 동적으로 정해지며(동적 디스패치) 다형성의 핵심이 되는 기능.* 동적디스패치 포스팅 : http://multifrontgarden.tistory.com/133 interface Testable{ void test(); } class OverrideTest implements Testable{ @Override public void test() ..
자바를 이용해 파일 입출력 작업시 주로 io 패키지를 이용하게된다. io를 다듬은 nio(new io) 패키지가 처음 등장한게 JDK1.5 이니 상당히 오래된 셈이지만, 상당수(내가 본 바로는 전부 다) 자바 입문서들과 블로그들이 파일입출력을 io 패키지로 소개하고있어 nio에 대해 잘 모르는 개발자들이 많다. 요즘 논블럭킹(Non-Blocking)이 이슈가 되면서 io를 논블럭킹으로 처리해주는 nio도 많이 주목을 받고있는데 이 때문인지 nio 의 n 이 non blocking인줄 알고있는 분들도 많다. 하지만 위에 괄호에 써놨듯 n 은 단지 new이며, 1.7에는 nio2 패키지가 추가되어있는 상태다. 패키지작명에 좀 실패한 케이스가 아닌가 싶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nio를 깊게 들여다보는것보다는 아..
자바를 이용해 외부 자원에 접근하는 경우 한가지 주의해야할 점은 외부자원을 사용한 뒤 제대로 자원을 닫아줘야한다는 점이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ileInputStream fis = null; try{ fis = new FileInputStream(""); }catch(IOException e){ }finally { fis.close(); } } 이정도로 끝나면 좋겠지만 문제는 저 close() 메서드도 Checked Exception 인 IOException 을 던지므로 이런 코드가 나타난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ileInputStream fis = null; try{ fis = new File..
얼마전 사내에서 작업했던 내용이다. 간단한 코드긴하지만... 코드는 각색해서 해당 내용을 포스팅하고자 한다. 1. Utils 클래스1-1. Utils 클래스 생성 요구사항 * 현재 전화번호, 주민번호, 카드번호 데이터는 - 없이 순수 숫자로만 저장되어있다. * 해당 데이터를 노출할때 -를 추가하고싶다. 음...뭐 딱히 어렵지 않은 내용이다. 어떤 내용으로 작업할지 고민을 했고, 특정 상태에 얽매이는게 아니라 인자로 넘어오는 값의 양식만 변경하면 되니 정적 메서드로 만들어도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그렇게 FormatUtils 클래스가 추가됐다. class FormatUtils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TEL_NO_PATTERN = "(02|0[\\d]{2})([\\d]{3,4})..
1. Groovy 앞선 포스팅에선 jUnit으로 테스팅하는걸 소개했었다. 이번포스팅에서는 또다른 JVM언어인 Groovy로 테스트를 해보겠다. Groovy로 작성하는 이유는 가독성때문이다. 테스트 코드는 실제 프로덕션 환경에서 구동되는게 아니기때문에 성능 이슈는 비교적 신경쓸이유가 적은데, 그루비는 자바에 비해 간결한 문법(아주 별거 아니지만 기본 접근제어자가 public이기때문에 코드에 public을 적을 필요가 없다.)과 최신기술들을 많이 지원해주고있어 테스트의 가독성을 끌어올릴 수 있다. 포스팅을 하고있는 본인 역시 그루비라는 언어를 잘 안다거나 그루비로 테스트를 많이 작성해본 상태는 아니다. 블로그에 글을 씀으로서 한번 시작해보려고 하는 1인에 불과하다. 일단 한번 해보자. dependencies..
1. jUnit Test자바로 테스트코드를 짤때 가장 유명한 프레임워크는 jUnit이다. 먼저 테스트 코드를 한번 만들어보자. dependencies { testCompile group: 'junit', name: 'junit', version: '4.12' }jUnit 의존성을 추가해주자(아주 간단한거지만 처음으로 gradle을 사용해본다!). 아주간단한 계산기 클래스를 만들어보자. 가장 처음 만들건 더하기 연산이다. 테스트코드부터 만들어보자. @Test public void plus() throws Exception { // given Calculator calculator = new Calculator(); // when int result = calculator.plus(2, 5); // then..
요즘 최범균님의 DDD start! 라는 책을 보며 DDD(Domain Driven Design)에 대해 입문하고있다. 책을 보며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포스팅이다. 아마 이번 포스팅은 얼마전 작성한 DTO와 VO 포스팅과 유사한 내용이 상당히 많을 것 같다. 얼마전 잡은 개념이라 책보면서 이해하기에도 어려운부분이 없어서 다행이었다. 1. Domain 개발을 하다보면 도메인이라는 단어를 참 많이 듣게된다. 특히 '도메인 객체' 란 표현으로 접하게되는데 도메인 객체란 내가 개발하고자 하는 영역을 분석하고, 그 분석의 결과로 도출된 객체들을 일컫는다. 예를들어 쇼핑몰을 만든다고 하자. 쇼핑몰의 주된 기능은 상품 구매일것이다. 상품구매의 순서는 보통 이렇다. * 상품을 등록한다. * 회원이 상품을 구매한다. ..
처음 자바를 배울때 인터페이스, 추상클래스, 구현클래스에 대해서 각각 이렇게 배우고, 암기하게된다. * 인터페이스 : 메서드의 몸통을 가질 수 없음. 추상메서드와 상수만 보유가능.* 추상클래스 : 구현메서드와 추상메서드를 모두 가질 수 있음. 단독으로 객체생성 불가능.* 구현클래스 : 구현메서드만 가질 수 있음.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거나 추상클래스를 상속받은 경우 해당 추상메서드를 반드시 구현해야 함. 자바를 처음 배울때는 보통 추상 클래스 혹은 구현 클래스를 이용해 중복 코드를 상위 클래스로 뽑아내고 하위 클래스들에서 재사용하는것에 큰 매력을 느끼게되고, 구현부따위없는 인터페이스에는 그다지 매력을 못느끼는 경우가 많다. 코드를 재사용할 수 있는것도 아니고 그저 메서드 시그니처만 강제하는게 무슨 의미가있다..
자바를 처음 공부할때 각종 자바의 장점들에 대해 배우는데 그 중 하나는 자바는 메모리 관리를 할 필요가 없다 라는 것이다. 그 이유는 GC때문인데, 'GC가 관리해주니 메모리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 라는것만 배우고 GC에 대해서는 이해도가 높지않은 경우가 많다. 하지만 GC에 대해서도 어느정도는 알고있어야 내 코드에서 성능 문제가 발생했을때 트러블슈팅을 할 수 있을것이다. GC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본다. 1. JVM 메모리구조 JVM 메모리구조를 간략히 도식화한 것이다. static 영역은 정적으로 로딩되는 데이터들이 들어가게되고 JVM의 모든 스레드들이 공유하게된다. stack 영역은 스레드별로 할당되는 영역이다. 쉽게말해 메서드의 지역변수들이 stack에 선언된다고 보면된다. 스레드별로 할당되기때문..
- Total
- Today
- Yesterday
- Spring
- DesignPattern
- java
- backend개발환경
- javascript
- java8
- programming
- spring cloud
- TEST
- Git
- 정규표현식
- generics
- MySQL
- toby
- JPA
- clean code
- Design Pattern
- servlet
- http
- db
- Kotlin
- Jackson
- frontend개발환경
- EffectiveJava
- mariadb
- JavaScript Core
- code
- frontcode
- OOP
- go-cor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