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최범균님의 DDD start! 라는 책을 보며 DDD(Domain Driven Design)에 대해 입문하고있다. 책을 보며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포스팅이다. 아마 이번 포스팅은 얼마전 작성한 DTO와 VO 포스팅과 유사한 내용이 상당히 많을 것 같다. 얼마전 잡은 개념이라 책보면서 이해하기에도 어려운부분이 없어서 다행이었다. 1. Domain 개발을 하다보면 도메인이라는 단어를 참 많이 듣게된다. 특히 '도메인 객체' 란 표현으로 접하게되는데 도메인 객체란 내가 개발하고자 하는 영역을 분석하고, 그 분석의 결과로 도출된 객체들을 일컫는다. 예를들어 쇼핑몰을 만든다고 하자. 쇼핑몰의 주된 기능은 상품 구매일것이다. 상품구매의 순서는 보통 이렇다. * 상품을 등록한다. * 회원이 상품을 구매한다. ..
Java
2017. 7. 23. 14:25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MySQL
- clean code
- javascript
- generics
- 정규표현식
- Spring
- EffectiveJava
- java8
- frontcode
- programming
- Kotlin
- frontend개발환경
- DesignPattern
- backend개발환경
- Git
- java
- mariadb
- Jackson
- JPA
- code
- JavaScript Core
- db
- http
- TEST
- OOP
- Design Pattern
- spring cloud
- servlet
- go-core
- tob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